본문 바로가기

학술/공학

BAYESIAN PARAMETER ESTIMATION : General theory and 예제

Bayesian 접근법은 특별한 경우 즉 multivariate Gaussian에서 원하는 density  \( p(x| \mathcal{D})\) 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 접근법은 알려지지 않은 density가 parameterized 되는 경우에 적용 될 수 있도록 일반화 될 수 있다.

 

\( \bullet \; \)  \( p(x| \theta) \)는 알려져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 \theta\)의 값은 정확하게 모른다.

\( \bullet \;\) \( \theta\)의 대한 초기 값은 알려진 prior density \( p( \theta)\) 에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 \bullet \;\) \(\theta\)에 대한 나머지 정보는 알려지지 않은 Probability density \(p(x)\)에 따라 뽑은 \(x_1,x_2,...,x_n\) 샘플로 구성된 하는 집합 \(\mathcal{D}\)에 포함되어 있다.

 

처음 문제는 posterior density 인 \( p(\theta| \mathcal{D})\) 를 구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이것으로 부터 \( p(x| \mathcal{D})\) 를 계산하기 때문이다.

$$ p(x| \mathcal{D}) = \int p( x| \theta)p(\theta| \mathcal{D})d \theta  $$

 

Bayes 공식에 의하면

$$ p(\theta | \mathcal{D})=  \cfrac{p(\mathcal{D}|\theta)p(\theta)}{\int p(\mathcal{D}|\theta)p(\theta) d \theta} $$

 

그리고 독립이란 가정하에서

$$ p(\mathcal{D}|\theta)= \prod_{k=1}^n p(x_k | \theta) $$

 

Bayesian 공식의 해를 얻는데 있어서 몇가지 의문이 드는데, 첫번째는 계산을 하는데 어려움에 대한 걱정이고, 두번째는 \( p(x)\)에 대하여 \( p(x|\mathcal{D})\)의 convergence에 대한 문제이다. convergence에 대한 문제는 간단하게 다룰 것이고, 그 후에 계산의 문제를 살펴 볼 것이다. single category에 대한 집합에서 여러개의 샘플을 명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  \mathcal{D}^n = \{x_1,....,x_n\}\)이라고 한다 만약 \( n > 1 \) 아래의 식을 얻는다.

$$ p(\mathcal{D}^n|\theta)= p(x_n |\theta) p(\mathcal{D}^{n-1} | \theta) $$

이식을 대입하면 반복된 식을 얻을 수 있다.

$$ p(\mathcal{D}^n|\theta)= \cfrac{p(x_n| \theta)p(\theta|\mathcal{D}^{n-1})}{\int p(x_n | \theta) p(\theta | \mathcal{D}^{n-1} )d\theta} $$

 

\( p(\theta | \mathcal{D}^0)= p(\theta) \)라는 것을 알고, 이 식을 반복 사용하여서 \( p(\theta), p(\theta | x_1), p(\theta| x_1, x_2) \) 가 나온다. \( p(\theta | \mathcal{D}^n) \)은 \(\mathcal{D}^n \)에 의존적이고 그 순서에 영향을 받지 않음을 알수 있다. 이것을 \( recursive \; Bayes \; approach\) 라고 불린다.

 

예제)

 uniform distribution 1차원  샘플을 얻었다고 가정하자.

$$ p(x|\theta) \sim U(0,\theta) = \begin{cases} 1/\theta \quad 0\leq x \leq \theta\\ 0 \quad otherwise,\end{cases}$$

 

처음에는 우리는 파라미터가 범위 한정적이란 것만 알고 있다. 특별히 \( 0\leq \theta \leq 10 \) 이라고 하자. (이것을 noninformative 또는 "flat prior"라고도 함. 이것에 대해서는 Section 3.5.2에서 다룸) 반복적인 Bayes method를 사용하여 data \( \mathcal{D}=\{4,7,2,8\} \) 에서 \( \theta\) 와  underlying distribution을 추정한다. 데이터가 없을 때에는 \( p(\theta | \mathcal{D}^0 ) = p(\theta) = U(0,10) \) 이다. 첫번째 데이터 \( x_1=4 \)가 도착하면 좀 더 개선된 추정이 가능하다.

 

$$ p(\theta | \mathcal{D}^1 ) \propto p(x|\theta)p( \theta | \mathcal{D}^0) = \begin{cases} 1/\theta \quad for \; 4\leq \theta \leq 10\\ 0 \quad otherwise,\end{cases}$$

 

참고로 \( x \leq \theta \) 이므로 \( 4 \leq \theta \)가 되고 \( 0 \leq \theta \leq 10 \) 이므로  모든 조건을 고려하면 \( \theta \)는 \( 4  \leq \theta \leq 10 \) 이 된다.

 

모든 곳에서 normalization은 무시 한다. 이제 다음 데이터 \( x_2=7 \)이 들어오면,

$$ p(\theta | \mathcal{D}^2 ) \propto p(x|\theta)p( \theta | \mathcal{D}^1) = \begin{cases} 1/\theta^2 \quad for \; 7\leq \theta \leq 10\\ 0 \quad otherwise,\end{cases}$$

 

 비슷하게 남은 샘플 데이터에도 동일한 과정을 적용한다. 반복적인 과정은 \( 1/\theta \)를 \( p(x | \theta) \)을 대신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distribution은 \( x \)값이 샘플링된 포인트의 가장 큰 값보다 크면 nonzero이다. 구하는 해의 일반 폼(general form)은

$$ p(\theta | \mathcal{D}^n ) \propto 1/\theta^n \quad for \; max[\mathcal{D}^n] \leq \theta \leq 10 $$

 

주어진 데이터 셋에서 보면 maximum-likelihood solution은 \( \hat{\theta} = 8 \) 이고 이것은 uniform \( p(x | \mathcal{D}) \sim U(0,8) \) 임을 의미한다.

 

\(p(\theta | \mathcal{D}^n) \)을 구하여 보면.

$$ p( \theta | \mathcal{D}^1 ) = \cfrac{ \cfrac{1}{\theta} \cfrac{1}{10} }{\int_{4}^{10} \cfrac{1}{\theta} \cfrac{1}{10} d\theta} = \cfrac{\cfrac{1}{\theta} }{ln{10 \over  4}}$$

 

$$ p( \theta | \mathcal{D}^2 ) = \cfrac{ \cfrac{1}{\theta} \cfrac{1}{\theta} }{\int_{L_2}^{U_2} \cfrac{1}{\theta} \cfrac{1}{\theta} d\theta} = \cfrac{ 1}{\theta^2 (L_2^{-1} - U_2^{-1})} $$

 

동일하게 하면.

$$ p( \theta | \mathcal{D}^{N+1} ) = \cfrac{ \cfrac{1}{\theta^N} \cfrac{1}{\theta} }{\int_{L_N+1}^{U_N+1} \cfrac{1}{\theta^N} \cfrac{1}{\theta} d\theta} = \cfrac{ N \theta^{-N-1}}{(L_{N+1}^{-N} - U_{N+1}^{-N})} $$

 

\( N \)을 바꾸면

$$ p( \theta | \mathcal{D}^{N} ) = \cfrac{ \theta^{-N} }{\int_{L_N}^{U_N} \theta^{-N} d\theta} = \cfrac{ (N-1) \theta^{-N}}{(L_{N}^{-(N-1)} - U_{N}^{-(N-1)})} $$

 

각 데이터에서 \( p( \theta | \mathcal{D}^{n} ) \) 을 구하면 아래와 같다.

여기서 참고로

\( f(x| \theta)= \cfrac{1}{\theta} \) for \( 0 \leq x \leq \theta \) 그 외에서는 0이라고 하자.

\( x_{(1)} \leq x_{(2)} \leq ... \leq x_{(n)}\) 이라고 하면. Likelihood 함수는

$$ L(\theta | x) = \prod_{k=1}^n \cfrac{1}{\theta} = \cfrac{1}{\theta^{n}}=\theta^{-n} \; (*) $$

\( 0 \leq x_{(0)} \) 이고 \( \theta \geq x_{(n)} \) 그 외에서는 0

여기에 로그를 취하여 미분을 하면.

$$ \cfrac{d \ln L(\theta | x)}{d \theta} = -\cfrac{n}{\theta} < 0$$

그러므로 \(L(\theta | x) = \theta^{-n} \)는 \( \theta \geq x_{(n)} \)이면 항상 감소 함수 이다. 이 정보와 (*)를 이용하면 \(L(\theta | x) \)는 \( \theta \)는 \( x_{(n)}\)에서 최대가 됨을 알수 있다.

그러므로 maximum likelihood estimator for \( \theta \)는

$$ \hat{\theta} = x_{(n)} $$

 

 

'학술 > 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위디 공식(Tweedies' Formula)  (0) 2024.12.11
Bayes Discriminants and Neural Networks  (0) 2020.06.02
Sufficient Statistics and the Exponential Family  (0) 2020.04.15